번역과 일본의 근대

[##_1L|1405554575.jpg|width=”270″ height=”400″ alt=”사용자 삽입 이미지”|_##]

저자 : 마루야마 마사오,가토 슈이치 (공저)

번역 : 임성모

출판 : 이산

이 책의 목차는 다음과 같다.

———-

1. 번역문화의 도래

시대상황을 생각한다

일본의 행운

양이론의 극적인 전환

근대적 군대와 기술관료의 출현

막번제 국가와 영토의식

에도 시대의 번역론

중국어를 외국어로 의식하다

비교의 관저

소라이에서 노리나가로

왜 번역주의를 택했나

번역과 급진주의

『역서독법』에 대하여

2. 무엇을 어떻게 번역했나

왜 역사책이 많이 번역되었을까?

역사를 중시한 것은 일본 유교의 특성일까?

널리 애독된 역사책

유학이 도덕의 체계가 된 과정

‘인’에서 ‘인ㆍ의ㆍ예ㆍ지ㆍ신’으로

논리 용어와 그 어법

‘개인’과 ‘인민’

‘만약’과 인과론

‘논리’를 파고드는 자세

조어를 둘러싸고

번역어의 문제점

라틴어ㆍ그리스어에 대한 지식은 있었을까?

3. 만국공법의 이모저모

막부 말기의 슈퍼 베스트셀러

영어ㆍ중국어ㆍ일본어를 대조하다

전통적인 용어는 어떻게 번역했을까?

법의식의 문제

‘국체’라는 말

번역하지 않은 것

4. 사회ㆍ문화에 끼친 영향

무엇을 번역했을까

왜 화학에 관심을 가졌을까?

후쿠자와 유키치에 과학관

지식인에게 영향을 끼친 번역서

원서의 질 문제

후진국의 조숙성

번역에 적극 참여한 메이지 정부

문명 개화 : 민심과 정부

 

——–

이 책은 가토 슈이치씨와 마루야마 마사오씨간의 대화를 통해 주제를 풀어 나가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. 옮긴이주를 통해 이 책의 내용만으로는 소화할 수 없는 지식을 전달해 주고 있는 것이나 찾아보기 등 부록이 상당히 우수한 점이 맘에 드는 책입니다.

이 책 자체에 대한 리뷰는 역시 시간날 때…